► JavaScript
-
[JavaScript] readline 결과값 확인하는 방법, 사용법► JavaScript 2024. 8. 13. 20:37
문제상황 프로그래머스 레벨0의 알고리즘을 푸는데, 아래와 같이 이상한 풀이가 적혀있다. const readline = require('readline');const rl = readline.createInterface({ input: process.stdin, output: process.stdout});let input = [];rl.on('line', function (line) { input = line.split(' ');}).on('close', function () { str = input[0]; n = Number(input[1]);}); 에러인가보다 하고 넘기고 보니, 간간히 하나씩 계속 나타나는거다.그래서, 아니 이게뭐야!!;;! 햇는데, readline 이라고..
-
[JavaScript] 객체의 key키값 및 구조 변경 (재배치)► JavaScript/문법 2023. 5. 25. 22:12
📚 group 배열에서 객체의 키값과 객체의 구조들을 재배치해보자 1. 먼저, group이라는 배열을 생성하였다. const group = [ { color: "green", address: "https://www.naver.com/", name1: "kim", name2: "yang", name3: "seo", }, { color: "red", address: "https://www.google.com/", name1: "lee", name2: "park", name3: "ha", }, { color: "orange", address: "https://www.daum.net/", name1: "jung", name2: "hwang", name3: "hun", }, ]; 2.map을 사용하여 객체의 ..
-
[JavaScript] 객체의 key키 바꾸기► JavaScript/문법 2023. 5. 25. 20:04
📚 colors 배열에서 color라는 키값을 fruit이라는 키값으로 바꿔보자 1. 먼저, color라는 키값으로 구성된 객체들을 모은, colors라는 배열을 생성하였다. const colors = [ { color: "green", }, { color: "red", }, { color: "orange", }, ]; 2.map을 사용하여 color를 fruit으로 바꾸는 코드 작성 const fruits = colors.map((v, i) => { return { fruit: v.color }; }); 결과 왼) console.log(colors)의 출력값 오) console.log(fruits)의 출력값 color라는 키값이 fruit이라는 키값으로 교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개인적으로 개발시행..
-
[JavaScript] Object['key'] & Object.key 차이► JavaScript/문법 2022. 11. 9. 23:02
js에서 객체의 프로퍼티를 접근하는 방법은 두가지의 표기법이 존재한다. (.점 표기법과, []대괄호 표기법) 객체의 프로퍼티를 접근하는 방법과 표기법 사용 방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. 목차 1. 객체의 프로퍼티를 접근하는 방법 2. 어떤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? 3. 점 표기법의 한계 4.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와 속성이 존재하는 경우 5. 결론 1. 객체의 프로퍼티를 접근하는 방법 점( . ) 표기법과 대괄호( [] ) 표기법을 사용하여 접근합니다. const objProperties = "title"; const obj = { title: "Apple", }; // .점 표기법 console.log(obj.title); // output: Apple // []대괄호 표기법_1.문자열로 접근 con..
-
Math.min(), Math.Max() 최대값 최소값 구하기► JavaScript/Math 2022. 8. 10. 15:28
🗂 최소수 / minimum number : Math.min() let minNum = Math.min(1, 2, 3)// 1,2,3 중에 최소 숫자 console.log(minNum)// 1 🗂 최대수 / maximum number : Math.max() let maxNum = Math.max(1, 2, 3)// 1,2,3 중에 최대 숫자 console.log(maxNum)// 3 🗂 심화 const nums = [1, 2, 3] 📓 error let minErr = Math.min(nums)// NaN let maxErr = Math.max(nums)// NaN 📓 right let minRight = Math.min(…nums)// 1 let maxRight = Math.max(…nums)// 3 ..